◆ 대기업보다 디자인이 좋은 강소기업
중소기업 대다수는 "대기업보다 기술과 디자인, 특히 브랜드 파워에서는 열악하다“고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자금, 매출 규모는 그렇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디자인 부문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 세계적인 강소 기업은 디자인을 혁신을 위한 핵심 역량으로 인식하고 전사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성공한 사례가 수 없이 많다.
지난해, ‘공기의 움직임’을 컨셉으로 새로운 개념의 진공 청소기를 개발한 영국의 다이슨(Dyson)은 기압골이 형성되는 원리인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날개없는 선풍기를 디자인하여 다이슨 진공청소기에 이어 세상을 놀라게 하였다. 사용성에 있어서의 안전은 물론 새로운 제품가치를 통한 혁신적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대기업보다 우수한 디자인 역량을 활용한 우수 사례이다.
우수한 디자인 능력을 가진 강소기업, Dyson(英)의 날개 없는 선풍기 'Air Muptiplier'
source_http://www.dyson.com
‘중소 기업의 디자인은 대기업보다 못하고 떨어지는 것이 당연하다’는 고정관념이 디자인에 대한 투자를 막고 성과를 내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문제는 당연하다고 여기고 스쳐가는 것에서 발생한다. '스큐드(skewed)'는 "오랫동안 동일한 패턴이 이어지면서 어느 한쪽으로 굳어져버린 개념, 행동, 현상"을 의미하는데, 당연하다고 생각되어져서 더 이상 생각하지 않고 그대로 지나가버리고 인정하는 요인이 된다. ‘중소 기업은 디자인이 좋지 않아도 된다’,
‘디자인 투자는 마지막에’ 이러한 스큐드를 넘어 문제를 발견하고 차별화하는 능력이 중소 기업의 강점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이를 뛰어넘는 방법은 바로 ‘창의적사고’다. 미국의 로버트헨리는 "물질은 그 자체로 아름답지 않다. 우리가 아름 답다고 생각하기때문에 비로소 아름다운 것이다"라며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창의적 사고를 통해 변화가 이루어 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창의적사고‘는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디자인이나 브랜드가 떨어진다"는 고정 관념을 발견하고 이를 "중소 기업일수록 대기업보다 디자인과 브랜드가 뛰어나야 한다"고 수정할 때, 제대로 된 역할을 하기 시작한다.
냉각+무소음 기술에 디자인을 접목, 보여주는 컴퓨터 부품으로 시장을 혁신한 잘만 테크
Source_http://www.zalman.co.kr/main/main.asp
왜 중소 기업은 기술과 자본은 물론, 디자인이나 브랜드까지도 대기업에 비해 뒤떨어진다고 생각하고 투자하지 않을까. 가장먼저, 투자 비용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 큰 이유는 디자인과 브랜드에 대한 투자를 비용으로 생각하는 소기업 CEO의 마인드다.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투자를 해야할 CEO가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있는 현실이다.
디자인을 활용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강소 기업의 특징은 최고경영자의 디자인에 대한 전폭적인 투자와 디자인 전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의 이미지와 경영 전략적 차원에서 서로 윈-윈을 이룬다. 디자인이 새로운 가치를 혁신하기 위한 핵심 역량임을 인식하고 상품 개발은 물론 비즈니스를 사업화하는 초기 기획 단계에서부터 디자인 개념을 활용하고 혁신을 창출하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전사적으로 활용하고있다. 의사 결정의 핵심에 디자인을 우선하는 디자인 경영을 펼치고있다.
패션 브랜드 ‘폴스미스’의 CEO인 폴스미스를 보자. ‘전통을 살짝 비튼 유머와 기발함'이 있는 스트라이프로 영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패션 디자이너다 CEO로서 폴스미스는 주식 시장에 기업을 상장하지 않는 이유로 "개인적으로 보면 삶의 자유!, 은행가나 투자자는 제품이 아니라 돈에만 초점을 맞추고 소비자와 따뜻한 감정을 자질수없다“를 들고있다. 늘 소비자와 가까이 있어야하고 마음을 읽어야 경쟁, 트렌드, 원가, 판매전략, 홍보등의 비즈니스를 할 수 있다고한다. 디자인을 ‘마지막 포장이나 분칠’이라고 판단하는 기업 CEO의 마인드와 기술 개발과 함께 디자인을 우선하여 미래를 예측하여 시장과 고객 중심적 상품을 개발하는 기업 CEO중 어느기업이 성공할 것이라는것은 이미 결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More Information
더 많은 내용을 '디자인db'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