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HOME > 디자인 스토리 > 디자인 변천사

북마크

디자인 스토리

  • 해외 리포트
  • 디자인 피플
  • 디자인 변천사

디자인 변천사

물품별, 시대별로 변화해온 거시적인 제품디자인 트렌드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오디오
주소복사프린트 트위터로 보내기페이스북으로 보내기미투데이로 보내기요즘으로 보내기

오디오 디자인 변천사

발명왕 에디슨이 레코드플레이어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포노그래프를 발명한 것은 1877년의 일이다. 이후 인류는 기록된 음을 재생해 즐기는 법을 알게 되었다. 원반형 레코드를 사용하는 그라모폰 gramophone을 통해 축음기가 대중에게 보급되었다. 원통식 레코드보다 원반식 레코드가 시장에 받아들여진 이유는 원반식 레코드 쪽이 프레스 가공을 통해 간단하게 찍어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초기 축음기는 거대한 나팔이 달린 오르골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빅터 토킹 머신사의 친근한 상표처럼 초기 축음기의 형태는 기록된 소리에 얌전하게 귀를 기울이는 모습과 조화를 이룬다. 기계와 인간의 1대1 관계를 엿볼 수 있는 디자인이다.

음질의 향상, 그리고 가정에서 음악을 감상하는 문화가 보급되면서 축음기 시장도 거대해졌다. 음량 시스템도 개선되어 여럿이서 음악을 감상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1906년 축음기 나팔을 내장한 콘솔 타입도 등장한다. 가구풍의 호화로운 디자인에 톤암이나 턴테이블을 금으로 사치스럽게 도금한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모노럴 녹음 시대에는 앰프, 스피커 일체형의 레코드플레이어가 일반적이었으나 스테레오라는 기능상, 좌우에 스피커를 배치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레코드플레이어는 턴테이블과 암으로 구성된 단순한 디자인으로 변했다.

1982년 필립스와 소니의 CD 개발은 축음기가 발명된 이후 레코드플레이어의 역사에 새로운 전기를 가져왔다. 레코드판보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데다, 바늘을 교환할 필요도 없고 정전기 때문에 먼지가 쌓일 걱정도 없는 CD는 음악을 한층 더 대중적인 상품으로 바꾸어 놓았다. 그리고 비닐로 만든 아날로그 레코드가 시장에서 모습을 감춤과 동시에 레코드플레이어도 일부 오디오 마니아를 위한 상품으로만 존재하게 된다.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는 CD의 등장으로 인해 형태가 없는 블랙박스로 변해갔다. 이후 mp3와 디지털 음원 및 다양한 매체의 발전이 이어지면서 디지털TV나 DVD 플레이어 등을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면서 보다 좋은 음질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제 오디오 시스템은 하이엔트 홈시어터 혹은 오디오 시스템으로 진화하여 다양한 멀티 소스를 하나의 오디오 시스템으로 흡수 통합해나가고 있다.
 

1877
Invention
 

  • 1877 미국 에디슨 최초의 원통 축음기 발명
  • 기록된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모습과 같은 거대한 나팔이 달린 오르골 형태가 주를 이룸

     
     
  1) 1855 프랑스 스콧 축음기   2) 1877 미국 에디슨 최초의 원통 축음기
 
  3) 1907 미국 에디슨 IEDLIA
 

1910
Romantic
 

  • 음질의 향상 및 음악감상 문화의 보급을 통해 축음기 시장 성장
  • 축음기 나팔을 내장한 콘솔 타입 등장
  • 가구풍의 호화로운 디자인및 톤암이나 턴테이블을 금 도금
     
  4) 1915 Phonograph; Edison, Diamond Disc Model C-250, Mahogany Cabinet, 60 Discs.
 
  5) 1920 웨스턴 일렉트릭사의 7A.19-D   6) 1920 Edison Diamond Disc C-19 Chippendale
 

1920
Radio
 

  • 1920년 세계 최초로 라디오 방송전파 송출
  • 1925년 미국 J.P. 맥스필드 전기적으로 음성 신호를 기록하는 방법 개발
  • 음량 조절이 자유로워지고 음향 특성도 향상
  • 1926년 진공관을 이용한 녹음기 개발
     
     
  7) 1927 유니버셜 특2호 전지식라디오
 
  8) 1927 JODK 전지식 리플렉스 3구 라디오   9) 1927 Atwater-Kent Model 37 - "Modernistic Style"
 

1940
LP
 

  • 1948년 1분에 33과 1/3회전을 하는 LP 발매로 녹음 재생 시간 연장1948년 1분에 33과 1/3회전을 하는 LP 발매로 녹음 재생 시간 연장
     
  10) 1940 웨스턴 일렉트릭사의 턴테이블
 
  11) 1945 미군정 광석라디오   12) 1949 오스트홀드 광석라디오
 

1950
Stereo
 

  • 1950년대 후반부터 스테레오 녹음기술로 ~20,000hz 광대역 녹음과 스테레오 LP판매로 레코드 산업의 전성기
     
  13) 1950 일본 소니 G-TYPE TAPE RECORDER
 
  14) 1950 제니스트랜스 오셔닉 라디오   15) 1950 RCA 빅터 포터블 라디오
     
  16) 1957 필립스 5구 라디오
 
  17) 1957 The Thorens TD 124   18) 1959 A-501 금성라디오
 

1960
Transistor
 

  • 트랜지스터 보편화
  • 작은 크기, 낮아진 전력소비, 즉각적인 반응으로 기존 진공관을 대부분 대체
  • 1964년 필립스에서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녹음기 개발
     
  19) 1961 일본 SONT TC-777 TAPE RECORDER
 
  20) 1965 일본 SONY TA-1120 HOME AUDIO   21) 1967 미국 Revox A77
 

1970
Compact & Portable
Cassette

 

  • 1971년 일본 컬럼비아(데논)사에서 PCM 녹음 방식 레코드 발매로 디지털 시대 예고
  • 카세트 테이프와 플레이어 유행
  • 1979년부터 디지털 녹음 시대 개막
     
  22) 1970s Panasonic Cassette recorder
 
  23) 1970 일본 SONY TC-1010 TAPE RECORDER   24) 1971 일본 SONY CF-2500 PERSONAL AUDIO
     
  25) 1972 일본 SONY LISTEN5 HOME AUDIO
 
  26) 1974 일본 SONY CF-1980 PERSONAL AUDIO   27) 1974 일본 SONY CF-1480 PERSONAL AUDIO
     
  28) 1978 일본 SONY TC-D5 TAPE RECORDER
 
  29) 1978 일본 소니 GG-20F HOME AUDIO   30) 1979 일본 SONY CFS-D7 PERSONAL AUDIO
 

1980
Advanced
CD

 

  • 1982년 필립스와 소니의 CD 개발.  레코드플레이어의 역사에 새로운 전기
  • 형태가 없는 블랙박스화
  • 스테레오 녹음기술과 디지털 녹음 기술 및 CD의 보급으로 홈 하이파이 시대 개막
     
  31) 1980 일본 SONY CFS-10 PERSONAL AUDIO
 
  32) 1981 일본 SONY WM-2 PERSONAL AUDIO   33) 1981 일본 SONY LIVERTY HOME AUDIO
     
  34) 1982 일본 SONY CDP=101 HOME AUDIO
 
  35) 1987 일본 SONY WM-504 PERSONAL AUDIO   36) 1987 CDP R-1/ DAS R-1
 

1990
MP3
 

  • 1990년대 초 CD-Rom, 1990년대 DVD 보급과 인터넷 보급, 새로운 포맷 ~1,000,000hz 초광대역 보급
  • 1998년 MP3 기술과 휴대용 플레이어 보급,.

     
     
  37) 1991 일본 SONY MZ-1   38) 1993 뱅앤올룹슨, BeoCenter 9500   39) 1996 뱅앤올룹슨, BeoSound 9000
     
  40) 1997 소니 MJ-L1   41) 1997 소니 미니콤포넌트 CMT-ED1   42) 1999 소니 SCD-1
 

2000
Multi Source
One Audio

 

  • 디지털TV나 DVD 플레이어 등을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면서 보다 좋은 음질을 추구
  • 하이엔트 홈시어터 혹은 오디오 시스템으로 진화
  • 다양한 멀티 소스를 하나의 오디오 시스템으로 통합
     
  43) 2004 뱅앤올룹슨, BeoCenter 2   44) 2007 뱅앤올룹슨, BeoVision 9   45) 2010 DENON RCD-N7 Network CD Receiver
     
  46) 2010 일본 SONY CMT-CPZ2   47) 2010 한국 LG DVD 콤포넌트 160W   48) 2010 한국 삼성MM-C330 DVD미니컴포넌트
 
     
  49) 2010 LG 마이크로 콤포넌트 60W   50) 2010 한국 삼성 BD-C6900 블루레이디스크   51) 2010 한국 삼성 HT-C7550W 블루레이형 홈시어터
 

디자인맵 자세히 보기 이미지 출처
1) http://www.goclassic.co.kr/index.html?club/board/viewbody1.html?go=&code=audio&number=828
2) http://kr.blog.yahoo.com/rmfthfl/6
3) http://kr.blog.yahoo.com/yenara88/folder/205.html?m=lc&p=2&tc=26&tt=1279427018&pc=5
4) http://www.prices4antiques.com/music/phonographs-victrolas/Phonograph-Edison-Diamond-Disc-Model-C-250-Mahogany-Cabinet-60-Discs-C206930.htm
5) http://www.sorishop.co.kr/board/special/board_view.html?no=106&s_key=&s_field=&page=1
6) http://www.pbase.com/kdnatives/image/39023718
7)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46377&logId=1436154
8)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46377&logId=1436154
9) http://www.radioblvd.com/20sRadio.html
10) http://blog.naver.com/sf5751?Redirect=Log&logNo=150051002010
11)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46377&logId=1436154
12)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46377&logId=1436154
13)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50/g_type.html
14)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46377&logId=1436
15)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46377&logId=1436154
16)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46377&logId=1436154
17) http://www.soundfountain.com/amb/td124page.html
18)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46377&logId=1436154
19)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60/tc-777.html
20)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60/ta-1120.html
21) http://www.retrothing.com/2005/11/revox_a77_my_fa.html
22) http://www.bodhgayanews.net/recording/recording-02.htm
23)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70/tc-1010.html
24)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70/cf-2500.html
25)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70/listen5.html
26)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70/cf-1980.html
27)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70/cf-1480.html
28)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70/tc-d5.html
29)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70/gg-20f.html
30)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70/cfs-d7.html
31)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80/cfs-10.html
32)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80/wm-2.html
33)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80/ta-yx7f.html
34)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80/cdp-101.html
35)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80/wm-504.html
36) http://search.agoraquest.com/viewtopic.php?topic=29310&forum=52
37) http://blog.paran.com/hjc/39947895
38) http://www.beoslagelse.dk/?id=155
39) http://www.flametreeridge.ae/vs_adTech_beo9000.asp
40) http://www.minidisc.org/part_Sony_MJ-L1.html
41)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90/cmt-ed1.html
42) http://www.sony.net/Fun/design/history/product/1990/scd-1.html
43) http://www.bang-olufsen.com
44) http://www.buyking.com/news/2007/05/news200705211616446
45) http://www.engadget.com/2010/09/29/denon-rcd-n7-loves-a-wireless-party-airplay-too-after-49-updat/
46) http://www.cytechstore.com/products_new.php?currency=USD&page=67
47) http://www.lge.co.kr/cokr/product/catalog/FrontProductDetailCmd.laf?catid=1413&curcatid=&prdid=eprd69120&mnid=prod00030003
48) http://www.samsung.com/sec/consumer/tv-video/audio/dvd-audio/MM-C330/index.idx?pagetype=prd_detail
49) http://www.lge.co.kr/cokr/product/catalog/FrontProductDetailCmd.laf
50) http://www.samsung.com/sec/consumer/tv-video/blu-raydiscplayers-dvd/blu-raydiscplayers/index.idx?pagetype=subtype
51) http://www.samsung.com/sec/consumer/tv-video/hometheater/blu-ray-hometheater/HT-C7550W/index.idx?pagetype=prd_detail&tab=learningResource 

 

출처 : ⓒKIPO | 이 저작물은 "저작자표시", "비영리"의 이용허락조건에 따라 배포 및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그 : 오디오 디자인 변천사 트위터로 보내기페이스북으로 보내기미투데이로 보내기요즘으로 보내기
스크랩 목록보기